
일, 결혼식 날짜와 시간을 정한다.
결혼 가능한 날짜를 선정하여 예식장을 알아보고 날짜와 시간을 잡는다.
이, 결혼식 형식을 정한다.
예식장, 이벤트, 전통 혼례나 야외 결혼식을 할지 결정해서 장소를 정한다.
삼, 하객 수를 가늠해 본다.
몇 명을 초대할 것인지 미리 예상하면 쉽게 결혼식 예산을 잡을 수 있다. 예식 날짜에 15일 전에 정확한 예약 인원수를 파악하여 예식장에 통보를 하는 것이 좋다.
사, 정보를 수집하고 리스트업을 한다.
각 장소마다 교통편 등을 고려하여 대상지역을 선정한다.
선배들의 조언을 듣거나 인터넷이나 웨딩 커뮤니티, 잡지를 활용하는 것도 편리한 방법이다.
오, 예식장을 직접 방문한다.
예식장 비용에는 예식장 대여료(웨딩드레스, 턱시도) 비용까지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리 확인해 둔다.
폐백실 이용료, 사진 및 비디오 촬영비(예식장 측을 이용할 경우) 신부화장과 헤어, 피로연, 음향, 조명과 촛불, 웨딩케이크, 방명록 서비스 요금 등이 포함된다.
몇 군데를 방문해 확인하고 고 견적서를 받아 둔다.
칠, 피로연장을 고려한다.
예상한 하객 수와 피로연장 규모, 피로연 음식은 어떤지 확인해두면 결혼식 예산 세우기에 도움이 된다.
팔, 비교 검토한다.
여러 곳의 조건이 비슷할 경우 신랑 신부에 마음에 드는 곳으로 선택한다.
구, 마음에 드는 곳으로 계약한다.
계약 시 해당 서비스나 이용 가능한 것들을 체크, 상품별로 패키지화 되어 있는 것들과 비교하여 산정한다.
십, 계약서를 잘 보관한다.
계약서를 잘 보관하고, 중간 중간 확인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결혼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준비는 이렇게] 결혼 날짜 택일 하는 법 (0) | 2020.03.24 |
---|---|
[결혼준비는 이렇게] 상견례 장소 선정하는 꿀팁 (0) | 2020.03.24 |
[결혼준비는 이렇게] 결혼 전체 진행표 (0) | 2020.03.24 |
댓글